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

개발서버

수준 고급
분야 화학
제목 산염기 중화적정 실험
  • 등록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
  • 등록일 2024. 3. 21
  • 조회수217
  • 리뷰수10

콘텐츠 정보

산염기 중화적정은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용액의 농도를 알아내는 방법입니다. 즉, 농도를 알고 있는 염기 또는 산의 표준용액으로 농도를 모르는 산 또는 염기 용액의 농도를 결정하는 정량분석법입니다.

 

산염기 중화적정 방법에는 산의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염기를 적정하는 염기적정, 염기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산을 적정하는 산적정이 있습니다.

 

VlabON의 산염기 중화적정 실험은 염기 표준용액으로 미지 농도의 산 수용액을 적정하는 실험과정을 3D 그래픽으로 개발하였습니다. 실험 단계는 크게 실험도구 준비 단계, 수용액 제조 단계, 적정 단계로 구성하였습니다. 적정 단계는 아래와 같이 3가지 단계로 진행됩니다.

 

  1. 농도를 아는 산 용액을 적정하는 단계
    : 뷰렛의 작동법을 쉽게 익힐 수 있는 단계임.
  2.  농도를 모르는 산 용액을 적정하는 단계
    : 실제 적정과 동일한 실험 단계임. 실험을 할 때마다 농도가 다른 산 용액이 나오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음.
  3. 10배 묽힌 시판 양조식초를 적정하는 단계
    : 일상생활 속 산 수용액을 적정하는 실험 단계임.

 

이 실험을 통해 가능한 학습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고체 시료로 1 M 수용액을 제조하는 방법
  • 액체 시료로 1 M 수용액을 제조하는 방법
  • 중화적정 실험에 필요한 도구와 사용법
  • 지시약 색 변화
  • 중화점을 알아내는 방법
  • 몰개념, 몰농도, %농도, 중화적정식의 이해 및 계산

 

<사용법>

 

이 실험은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실험도구를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. 실험도구 준비단계에서는 실험도구를 클릭하면 해당 실험도구가 실험대 위로 옮겨집니다. 실험을 진행하는 단계에서는 실험도구 하나를 마우스로 선택하고 주변의 실험도구쪽으로 드래그하면 실험 동작이 실행됩니다. 예를들면, 실험도구 중 하나인 피펫을 선택하여 시약병 가까이 드래그한 후 마우스를 놓으면 피펫에 10mL의 시약을 채취하는 동작이 실행됩니다.

 

적정단계에서는 뷰렛에 채워진 염기 표준용액을 떨어뜨릴 때 뷰렛 코크를 잘 조절하면서 용액의 색깔 변화를 관찰하다가, 종말점에서 즉시 코크를 잠급니다. 종말점을 놓쳐서 적정이 실패하는 경우에는, 재시도 할 수 있습니다.

 

모든 실험과정에서 실험도우미 라비(Lavi)의 안내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면 적정에 대한 개념이 없는 학습자도 쉽게 적정실험을 할 수 있습니다.

 

< 선수 학습용 추천 영상 >

 

    

 


평가 및 리뷰

평가 및 리뷰 별점 4.1
★★★★★
★★★★★
  • 5
  • 4
  • 3
  • 2
  • 1
3 test01 2022-09-14 14:01:19

해당 글은 부적절한 언어 사용으로 인하여 관리자에 의해 차단되었습니다.

3 test03 2022-09-14 14:01:19

추천해요!

3 test04 2022-09-14 14:01:19

추천해요!

5 소다소다 2022-08-10 17:04:40

실제 실험과 동일한 실험을 가상으로 할 수 있어서 좋아요. 실패하더라도 여러번 다시 시도할 수도 있구요. 상세한 설명도 있으니 이해하기도 수월합니다. ^^

5 ㅎ 2022-08-08 14:39:15

실험도구를 직접 가져오고 적정도 직접 밪추는게 재밌었어요. 위험한걸 간접으로 할 수 이쓴 것도 좋네요^^

댓글 19

테스트02 2024-09-12 16:32:08

test4

테스트02 2024-09-12 16:31:54

test

테스트02 2024-09-12 16:32:01

@테스트02님에게 test03-1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토록

테스트02 2024-09-12 16:31:57

@테스트02님에게 test2 아래와 같이 인도네시아 특허청의 요청..으로

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3-09-12 13:47:28

테스트1

검은배경
너비 1180px 이상
너비 768px - 1179px
너비 767px 이하